1. 각주 및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은 체제를 준수하여야 한다.
1)각주는 외각주로 한다. 저서의 경우, 저자명, 『서명』, 출판사, 발행년도, 면수의 순으로 기재하고,
논문의 경우, 필자명, 「논문제목」, 『학회지명』, 호수, 발행처, 발행년도, 면수의 순으로 기재한다.
예시
① 정규복, 『韓國文學과 中國文學』, 국학자료원, 2001, 213면.
② 정규복, 「韓國軍談類小說에 끼친 三國志演義의 影響序說」, 『어문논집』 4호, 안암어문학회, 23면.
2) 참고문헌의 경우, 논문의 끝부분에 실으며, 다음 양식을 지켜야 한다.
(1) 논문의 경우 : 저자, 「논문제목」, 『학회지명』, 호수, 학회명, 연도, 면수.
예 : 장효현, 「한국 고전소설 비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」, 『古典文學硏究』 20호, 韓國古典文學會, 2001, 367-407면.
(2) 저서의 경우 : 저자, 『서명』, 출판사, 연도.
예 : 장효현, 『韓國古典小說史硏究』, 고려대학교 출판부, 2002.
단, 필요에 따라 다음의 체제도 인정한다.
① 저자(연도), 「논문제목」, 『학회지명』, 호수, 학회명, 면수.
예 :전성운(2001), 「<九雲夢>의 창작과 명말 청초 艶情小說-<空空幻> 과의 비교를 중심으로」, 『고소설연구』 12호, 한국고소설학회, 63-89면.
② 저자(연도), 『서명』,출판사.
예 : 전성운(2005), 『한·중 소설 대비의 지평』, 보고사.
(3) 로마자로 표기되는 참고문헌의 경우는 도서명을 이탤릭체로 한다.
예 : Cruse, D. Alan. Meaning of Language, Cambridge: Cambridge University Press, 1986.
(4) 공저인 경우 3인까지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밝히고, 4인부터는 대표저자 외 몇 인으로 표시한다.
예 : 정규복 외 8인, 『金萬重文學硏究』, 國學資料院, 1998.
(5)참고문헌은 한국어 문헌, 중·일·영 순으로 수록하고, 한국어 문헌은 저자명의 가나다 순으로, 기타 외국문헌은 저자명의 알파벳 순으로
배열한다.
2. 각종 부호의 사용은 다음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.
3. 그 외에 정해지지 않은 사항은 관례에 따라 처리한다.